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|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|
wiki:html [2020/06/10 09:57] 127.0.0.1 바깥 편집 |
wiki:html [2023/01/13 18:44] (현재) |
||
|---|---|---|---|
| 줄 7: | 줄 7: | ||
| </ | </ | ||
| <WRAP clear/> | <WRAP clear/> | ||
| + | |||
| + | ---- | ||
| + | 연관 WIKI: [[wiki: | ||
| + | ---- | ||
| + | ===== 조건부 주석 ===== | ||
| + | 어떠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주석처리가 되고, 조건이 충족되면 주석안의 내용이 브라우저에 렌더링 되는 것을 의미 \\ | ||
| + | 주로 크로스브라우징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의 버전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됨 \\ | ||
| + | 사용 예시 IE9 아래의 버전에서 아래 스크립트가 사용됨 \\ | ||
| + | <code html> | ||
| + | <!--[if lt IE 9]> | ||
| + | <script src=" | ||
| + | <script src=" | ||
| + | < | ||
| + | </ | ||
| + | [[https:// | ||
| + | \\ | ||
| + | ===== Content Type ===== | ||
| + | * [[wiki: | ||
| ===== Html5 ===== | ===== Html5 ===== | ||
| 줄 26: | 줄 44: | ||
| * [[https:// | * [[https:// | ||
| * [[wiki: | * [[wiki: | ||
| + | |||
| + | ===== < | ||
| + | > | ||
| + | < | ||
| + | 본 튜토리얼에서는, | ||
| + | 다른 컨텍스트는 다른 렌더링 타입을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 WebGL은 OpenGL ES 을 기반으로 하는 3D 컨텍스트를 사용합니다.\\ | ||
| + | 캔버스는 처음에 비어있습니다. 무언가를 표시하기 위해서, 어떤 스크립트가 랜더링 컨텍스트에 접근하여 그리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. \\ | ||
| + | < | ||
| + | getContext() 메서드는 렌더링 컨텍스트 타입을 지정하는 하나의 파라메터를 가집니다. \\ | ||
| + | 본 튜토리얼에서 다루고 있는 2D 그래픽의 경우, CanvasRenderingContext2D을 얻기위해 " | ||
| + | |||
| + | *출처 [[https:// | ||
| ===== Ref ===== | ===== Ref ===== | ||
| * [[https:// | * [[https:// | ||
| - | |||
| ===== Tip ===== | ===== Tip ===== | ||
| 줄 35: | 줄 64: | ||
| ===== Troubleshooting ===== | ===== Troubleshooting ===== | ||
| + | ===== HTML Note ===== | ||
| + | * [[wiki: | ||
| + | ===== HTML 유용한 사이트 ===== | ||
| + | * [[https:// | ||
| + | * [[https:// | ||
| {{tag> | {{tag> | ||